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에는 특히 다른 부위에 비해 겨드랑이 부분에 땀에 젖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땀이 묻은 옷은 빨리 세탁하지 않은 경우에는 옷에 배인 냄새 때문에 세탁을 해도 잘 사라지지 않고, 옷감도 다른 부위에 비해 쉽게 상하며 얼룩이 생겨 다시 입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옷에 땀 얼룩 지우는 세탁 방법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1. 땀성분 땀은 우리 몸에 생성되는 액체로 땀샘에서 생성되며 여러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염분에는 나트륨, 칼륨, 염소 등 포함되며 비타민C와 비타민B그룹의 일부가 미량으로 존재합니다. 또한 탄닌성분도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 성분이 함께 묻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땀은 여름철 뜨거..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아진 요즘 집안에 가구를 교체하려거나 리모델링을 하여 분위기를 바꾸는 방법도 있지만 조명 하나만 바꿔도 분위기가 많이 바뀌게 됩니다. 조명을 바꿀 때 디자인만 보게 되는데 이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은 색온도입니다. 그럼 색온도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드리겠습니다. 1. 색온도 (켈빈온도) 아침에 해가 뜰 때는 하늘이 푸른빛을 띠고 활기찬 아침을 맞이하며 에너지를 받고 하루를 시작합니다. 저녁에 해가 질 때는 주변 하늘이 노란빛을 띠며 기분도 차분해지고 안정감을 느끼고 휴식을 취하고 싶어 합니다. 태양을 보면 하얀색을 떠오르지만 아침과 저녁은 분명 다른 색을 띠고 있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입니다. 색온도는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부분 켈빈온도로 표시됩니다. 이때 단위..

한국인은 밥심이라는 말이 있듯이 밥을 맛있게 짓는 법은 중요하지만 초보자에게 어렵습니다. 그래도 전기밥솥이 있다면 짓는 방법이 조금 수월할 수 있지만. 만약 밥솥을 이용해 가스레인지로 짓는다면 불조절도 쉽지 않습니다. 또한 쌀을 씻는 것도 확인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그럼 밥 맛있게 짓는 방법 쌀 씻는 법부터 쌀뜨물 활용하는 방법까지 소개드리겠습니다. 쌀 씻는 법 맛있는 밥을 지으려면 쌀을 불리고 씻는 것도 중요합니다. 날씨가 서늘해지면 손이 시려 따뜻한 물을 찾게 되는데 쌀을 따뜻한 물에 씻는 것은 안된다고 합니다. 60℃이상의 물로 씻으면 밥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쌀 표면이 어설프게 익어서 수분이 쌀알 내부까지 스며들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자칫 밥이 딱딱해질 수 있습니다. 밥맛을 살..

일상에서 씻기만큼 잘 닦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수건을 사용하는 잘못된 습관과 보관으로 박테리아와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에 있습니다. 수건은 함께 사용하는 가족에게 균이 번식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세탁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그럼 수건 세탁방법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1단계, 세탁하기 전 수건의 색상과 재질에 따라 나눕니다. 염색된 색상이 이염될 우려가 있는 수건은 백색수건과 분리하여 세탁합니다. 만약 세탁양이 많다면 한 번에 4~ 5장씩 나누어 세탁합니다. 수건에 얼룩이 있다면 세탁기에 넣기 전에 미리 애벌빨래를 합니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세탁비누를 이용해 얼룩 부분만 빨래하거나 과산화수소를 이용해 부드럽게 문지른 후 방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얼룩은 따뜻한 물에 잘 세척되며 만약..

싱크대 청소 과탄산소다로 찌든때 해결 천연세제로 사용하고 있는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 두 제품의 공통점을 알칼리성이라는 것입니다. 그 외에 다른 공통점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두 개는 서로 다른 화학 물질입니다. 주방에서 사용되면 다양한 산업 및 가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물질은 화학적으로 다르며 서로 다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 차이점을 소개드리겠습니다. 1. 화학적 구성 과탄산소다 (Sodium Carbonate) 과탄산소다는 화학식 Na2CO3를 가지며 탄산염의 하나입니다. 또한 세탁소다라고 불립니다.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며 뜨거운 물에 잘 용해됩니다. 과탄산소다는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에 녹이면 과산화수소가 방출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