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분리배출이 시작되고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며 쓰레기를 버리는 것에 돈을 들어 벼려야 한다는 인식이 생긴 지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가능한 제품을 분리하는데 의외로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같은 재질이더라도 어떤 것은 가능하지만 어떤 것은 불가능하여 잘못 버려진 재활용 제품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재질의 유형을 파악하고 오염부위기 있는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오염부위를 씻어서 분리할 수 있다면 가능하지만 제거할 수 없는 오염물은 일반쓰레기로 분류해야 합니다. 이번에 재질별 재활용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드리겠습니다. 
 

1. 헌 옷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입을 수 있는 옷은 수거함을 이용하거나 기증합니다. 입을 수 없는 옷은 단추, 지퍼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합니다. 방수코팅된 옷은 분리수거가 안되며 가죽제품, 카펫, 담요, 솜, 베개, 한복 역시 분리수거가 안됩니다. 지역마다 분리 방법이 다르므로 관할 구청 또는 시청에 알아보시고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합니다. 별도의 스티커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꼭 확인해야 합니다. 
 

2. 종이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종이를 분리배출할 때에는 비에 젖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비닐 코팅이 된 종이와 사진은 재활용이 안되므로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잡지책의 표지 부분에 비닐 코팅이 된 경우. 그 부분만 뜯어서 분리해 주세요. 상자류에 붙은 비닐 테이프와 운송장 스티커는 제거하고 재활용 수거함에 분리해 주세요. 부피가 있는 상자는 테이프를 제거하고 접어서 배출해 줍니다. 종이 재질 이어도 비닐코팅된 부분이 있는지, 종이 이외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한 다음 재활용으로 분리배출 할 수 있습니다. 
 

3.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용기는 안쪽을 물로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능한 부피를 줄여서 분리합니다. 투명 페트병은 따로 재사용하므로 색이 있는 것과 투명 페트병을 따로 확인하고 분리해 주세요. 열에 잘 녹지 않는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안됩니다. 예를 들어 단추, 화장품용기, 식기류, 재떨이, 장판, 파이프는 종량제 봉투를 사용해야 합니다. 
 

4. 비닐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과자, 라면봉지, 냉동식품등 비닐 포장지에 담아져 있어서 판매하는 제품들도 많습니다.  내부에 이물질이 있다면 물로 씻은 다음 버려주세요. 이물질 제거가 어렵다면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라면 스프 봉지 역시 씻어서 배출해야 합니다. 
 

5. 캔, 고철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맥주캔, 음료수캔, 부탄가스, 살충제통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식품이 담긴 경우 물로 씻어 내부를 헹구고 부피를 줄여서 버립니다. 부탄가스와 살충제는 바닥에 구멍을 내서 내용물을 제거한 다음 배출해 줍니다. 철사, 못, 철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도 해당되며 뚜껑의 재질이 다른 경우 뚜껑은 따로 분리합니다.  페인트통이나 오일통은 내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음료수캔과  참치캔의 두께와 재질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철과 알루미늄은 선벌 작업에서 분류하므로 함께 버리면 됩니다. 
 

6. 병, 유리용기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대부분 병과 유리용기의 뚜껑 재질이 다르므로 따로 분리해서 배출합니다. 병뚜껑의 경우 캔 또는 고철 칸에 분리하면 됩니다. 유리병 내부에 다른 이물질이 없도록 유지하며 음료수병, 소주병, 백주병은 공병 보증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보증금을 받고 바꿀 수 있습니다. 도자기 화분, 형광등, 깨진 유리는 재활용되지 않으므로 따로 전용 마대에 넣어 버립니다. 
 

7. 기타

재활용 분리 배출재활용 분리 배출

냉동, 냉장식품을 배송받았을 때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외부에 붙어 있는 테이프나 스티커를 제거하고 배출해 주세요. 건전지는 건전지 수거함을 이용하며 알루미늄포일은 재활용되는 제품이 아니므로  일반쓰레기로 분리됩니다. 
 

마무리

재활용되는 쓰레기여도 재질에 따라 따로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 우산을 버릴 때에는 우산대는 고철, 손잡이는 플라스틱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부피는 줄이고, 이물질이 있는 경우 물에 씻어 제거하며 만약 제거가 어렵다면 일반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재활용으로 배출가능하더라고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도 중요한 일입니다. 환경을 생각하고 작은 것부터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